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MSDS 개선을 위한 석유계 물질 내 유해물질 분석 연구

연구책임자
한정희 외 2명
수 행 연 도
202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o 물질안전보건자료 (Material Safety Data Sheet, 이하 MSDS)는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기재한 것으로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산안법」) 제104조와 제110조에 따라 물질이 근로자에게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 등 (이하 유해물질)이거나 유해물질을 일정 중량비율 이상 함유한다면 MSDS 상에 구성성분으로 기재하여야 함
o 석유계 물질은 원유를 증류 및 전환 등의 공정을 통해 정제하여 제조한 것으로, 구성성분의 조성을 기준으로 단일성분물질과 다성분물질, UVCB (Unknown or Variable composition, Complex reaction products or Biological materials) 물질로 구분할 수 있음
  - 단일성분과 다성분 물질은 구성 성분 및 함유량이 명확한 반면, UVCB 물질은 원유 분획과 최종정제공정, 탄소수 및 끓는점 범위 등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제조 및 정의되기 때문에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조성을 특정할 수 없음
  - 석유계 UVCB 물질은 탄소수와 끓는점이 유사한 물질이 다수 혼합되어 있으므로 모든 구성 성분을 일일이 규명하기 어려우며,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MSDS에 기재되지 않을 수 있음
  - 고도로 정제된 단일성분 물질과 정제 및 혼합된 다성분 물질의 경우에도 UVCB 물질로부터 유래한 것이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잔존할 수 있으나 MSDS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는데 실제로 2018~2020년 MSDS 적정성 평가를 위한 석유계 물질의 성분 분석 결과 MSDS 상에 유해물질이 누락된 수건의 사례가 있었음
o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석유계 물질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석유계 물질의 「산안법」 상 유해인자 함유여부를 확인함으로써 MSDS의 구성성분 및 함유량의 표기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o 석유계 물질 자료 조사
  - 석유계 물질 및 UVCB 물질의 분류 및 확인방법을 조사한 결과 유럽, 미국 등 외국은 석유계 UVCB 물질에 대한 분류와 관리에 석유계 물질을 그룹화하고 적합한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등 유해성·위험성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으나, 국내는 아직까지 석유계 UVCB의 유해성 분류 및 표시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었음
o 대상 유해물질 및 시료 선정 
  - 「산안법」 상 유해물질 중 석유계 물질에서 유래한 것으로 판단되는 탄화수소화합물을 대상으로 GC-MS로 분석이 가능한 물질을 선정한 결과 노말헥산, 벤젠,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센, 헵탄,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이성질체 포함) 등 10종이었음
  - 이 중 벤젠은 발암성 및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이며, 노말헥산과 톨루엔은 생식독성물질, 에틸벤젠은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어 있었음
  - 분석 대상시료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석유계 물질 함유제품을 수거하여 상온·상압에서 액체상태이며, MSDS에 석유계 UVCB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시료를 선정한 결과 21종이었음
   · 석유계 물질의 성분 분석방법 최적화
  - GC 또는 GC-MS를 이용한 석유계 물질의 분석방법과 이를 통한 분석사례 등을 조사하여 분석조건을 최적화하고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 직선성, 정밀도 및 정확도,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양호하게 나타났음
o 석유계 물질의 분석 및 유해물질 함유 여부 확인
   - GC-MS로 대상 시료 중 대상 유해물질을 분석하여 제조사의 MSDS와 비교한 결과 UVCB 물질을 함유한 시료 21종 중 한계농도 이상의 유해물질을 함유한 제품은 14종으로 66.7%를 차지하였는데 모두 나프타 및 가솔린 계열 UVCB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품이었음
   - 반면에 등유계 및 윤활기유계, 파라핀 및 왁스계 UVCB 물질을 함유한 시료는 모두 대상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았음
   - 유해물질의 성분별 함유비율과 MSDS 기재 일치율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구성성분을 누락하거나 함유량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음

□ 시사점
o  석유계 물질의 MSDS 작성법 제안 
  - MSDS 작성 시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은 화학제품을 구성하는 성분정보를 성실히 기재하여야 함. 특히 석유계 UVCB 물질을 함유한 경우 유해물질의 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성분의 표기와 유해성·위험성 분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 함유량은 변화의 폭을 최소화하여 기재하고, 벤젠과 같은 발암성 물질은 0.1% 미만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온도조건 등 작업환경에 따라 충분히 한계농도 이상 노출될 수 있으므로 한계농도를 초과하지 않더라도 기재하는 것을 권고함
  - 구성성분의 독성자료를 이용하여 분류한 건강 및 환경 유해성은 각 성분에 대한 최고농도에서의 영향을 기재하여야 함
  - MSDS 적정성 평가 시 MSDS를 제출하지 않거나 성분을 기재하지 않으면 정확한 성분 및 함유량 평가가 불가능한데 특히 UVCB 물질의 경우 본 연구결과와 같이 충분히 다양한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해성·위험성 분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3. 연락처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한정희
Tel: 042-869-0353
E-mail: hanjh@kosh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