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화학물질 유해·위험 정보전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김기웅외 3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화학물질 유해ㆍ위험 정보전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1년도 안전보건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에서 “외부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지?”와 “교육을 받았다면 어느 기관에서 받았는지?”를 묻는 질문에 53.8%가 교육을 받았으며, 교육기관으로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76.%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교육원에서 실시하던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실무 에 관한 교육이 민간 교육기관으로 이전된 후의 조사로서 이들 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MSDS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 결과라 생각된다. 현재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가 외부 기관에서 받았다는 MSDS 교육은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 시 일부의 시간을 배정하여 원론적인 내용의 MSDS 교육을 받은 것이 전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MSDS 교육지침을 개발하여 교육 관련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고 민간 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MSDS 교육에 활용하여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사업장 교육의 실효성을 증대시키는데 활용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자 연구 대상자는 안전관리자 130명, 보건관리자 219명과 명예산업안전감독관 24명으로 총 373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에 대한 1차 설문조사는 산업안전보건 관리자에 대한 법정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을 방문하여 연구목적과 방법, 활용방안 및 비밀보장 등에 관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다음, 교육기관의 교육담당자를 통하여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1차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1차 연구 대상자중 화학제품제조업의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49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연구방법 가) 설문지 구성 1차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업장 정보(8 항목), 업무에 관한 내용(9 항목), MSDS 교육에 관한 내용(29 항목)으로 총 47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차 설문지는 1차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기업특성(7 항목), 업무에 관한 내용(6 항목), MSDS 교육에 관한 내용(29항목) 증 총 4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나) 자료분석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는 Version 12.01 SPSS 통계프로그램(SPSS Inc.,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별 일반적 특성 및 직무특성 등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일원배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관련성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결과는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4. 연구결과 연구대상 사업장의 기업형태는 전부 국내기업이었고 연구 대상자의 업종은 화학제품제조업 45명(12.5%), 기계 및 부품제조업 21명(5.9%), 전기?전자 제품제조업 21명(5.9%), 건설업 33명(9.2%) 및 기타 서비스?제조업이 239명(66.6%)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규모는 상시 근로자 1,000인 이상 사업장이 139 개소(37.2%), 50-300인 사업장이 144 개소(38.6%)500-1,000인 사업장이 44 개소(11.8%), 50인 미만 사업장은 20 개소(5.4%)였다. 대상자의 학력수준은 전체 대상자 중 348명(92.8%)이 전문대졸 이상이었으며, 산업(환경)보건 전공자가 124명(34.2%)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 산업안전, 환경공학, 화학공학 및 건축공학 등 다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직종은 81명(22.2%)이 기술직, 144명(39.4%)이 사무직이었고 140명(38.4%)이 기타 직종으로 분류되었다. 직위는 130명(35.0%)이 사원이었으며, 대리(계장) 55명(14.8%), 과장 61명(16.4%), 차장과 부장이 각각 53명(14.2%)과 37명(9.9%)로 나타났다. MSDS 교육 실시율은 55.0%이었고 교육시간은 산업안전보건 교육시 일부의 시간을 배정하여 MSDS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55.0%) 교육 횟수는 월1회가 20.5%, 2-3월에 1회가 19.3%, 6월에 1회와 년 1회가 각각 17.6%와 17.3%이었다. MSDS 강사는 66.1%가 내부강사(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및 부서 책임자)였고 MSDS 교육은 45.2%가 물질별로 MSDS 내용 전체에 대하여 교육하고 있었으나 교육내용은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내용이 56.5% 정도이었다. 조사된 모든 내용을 근거로 MSDS 교육의 실효성 향상을 위한 개선 분야를 제도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대상자와 사업장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양성을 위한 MSDS 교육내용과 시간 등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한 다음, 2차 설문조사에서 적합성과 보완해야 할 부분 등을 파악한 후 전문가 양성을 위한 MSDS 교육과정 개선 지침(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은 MSDS 제도의 이해(2시간), MSDS 분류기준 및 용어해설(3시간), MSDS 작성방법 및 자료검색(2시간), 취급시 주의사항 및 응급조치(2시간), 산업보건(안전) 일반(1시간) 등으로 5개 과목의 10시간 교육과정을 편성(안)을 제안하였다. 5. 활용 및 기대효과 MSDS 교육지침을 개발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2조의6(물질안전 보건자료에 관한 교육의 시기ㆍ내용ㆍ방법 등)의 제1항 관련 [별표 8의2]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의 ‘나.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교육’의 교육내용에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여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의 MSDS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MSDS 교육이 제도적으로 강화되면 산업안전ㆍ보건 관련 종사자의 MSDS 전문성을 향상시켜 사업장 근로자 교육의 실효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6. 중 심 어 MSDS,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교육지침 7. 참고문헌 김기웅, 박진우, 정무수. 산업안전보건관리자 특성과 화학물질 유해성 정보전달의 관련성.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12;22(2):156-163 김기웅, 정무수, 박진우. 화학물질 유해성 정보전달을 위한 상호의사소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OSHA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s. Safety data sheets for substances and preparations dangerous for supply (Second edition). Guidance on regulation 6 of the Chemicals (hazardinformation and packaging for supply) Regulations 1994 Approved Code of Practice. HSE books, 1993 Perrin L, Laurent A.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implementation of safety curricula for chemical engineering education in France. Edu Chem Engineers 2008;3:8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