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Green Anti-slip 안전화 겉창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연구책임자
김정수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안전화 겉창은 보통 NBR계통의 고무재료에 여러 가지 재료를 배합하여 제작 된다. 고무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카본블랙을 첨가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카본블랙은 일반적으로 발암성물질로 분류될 만큼 생산, 사용 및 폐기 단계에서 이를 취급하는 근로자의 건강상에 많은 위험을 내포하게 된다. 또한 카본 블랙이 첨가됨에 따라 안전화 겉창의 미끄러짐 저항값이 감소하고 있어 미끄러짐 재해 또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질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찾을 경우 생산, 사용 및 폐기 단계에 관련된 근로자의 안전보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안전화 생산 업체와 연계하여 재질을 발굴하고 이를 안전화에 적용하여 2010년도에 개발된 안전화 미끄러짐 저항 측정장치를 통해 미끄러짐 저항 향상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재질을 개선하는 한편 안전화 겉창의 형상과 연계시켜 미끄러짐 저항 향상 안전화를 개발함. ○ 개발이 완료된 안전화는 서비스 업종 사업장에 보급하여 3개월간 추적연구를 병행함으로서 개발된 안전화의 유효성을 실증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최적의 재질 설계인자를 찾고 안전화 생산업체를 통하여 재질을 개발하여 재질에 따른 특성을 기존 미끄러짐 측정장치를 활용하여 미끄러짐 저항 향상도를 연구함. 이를 통해 얻어진 최적으로 재질을 실제 안전화 생산에 도입하고 완성된 안전화는 실험실 분위기에서 2010년도에 개발한 안전화 미끄러짐 저항 측정장치를 통해 실험적으로 검증함. ○ 또한 개발된 안전화는 서비스 업종에 일부 무상으로 보급하고 3개월간 추적하며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미끄러짐 저항 값 변화를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Green Anti-Slip 안전화를 개발함 3. 연구결과 ○ 첫 번째로 정제실리카를 첨가한 안전화 겉창물질을 개발하였고 기존의 휴대용 미끄럼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기본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기초자료를 안전화 겉창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 둘째로, 건물관리업에 개발된 안전화를 보급하고 안전화를 착용하는 근로자의 작업특성, 운동능력 등 기본적인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3개월 동안 추적연구를 수행하여 개발된 안전화의 문제점 및 근로자들의 작업별 부적절한 요소를 찾아내어 건물관리업종에 적합한 안전화 특성을 찾아내었다. ○ 셋째로 개발된 안전화를 실험실에서 보행을 통하여 마모를 시키고 이를 Ramp tester와 2010년도에 개발된 AVIT를 이용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안전화의 미끄러짐 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가장 위험한 마모상태를 찾아야 하며 이 상태에서 측정을 하여야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건물관리업종에서 3개월 동안 추적연구한 안전화와 실험실에서 수행한 안전화 사이에 유사한 마모특성이 있으며 실험실 기반연구로 현장 특성을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중심어 전도(넘어짐), 정제실리카, 안전화 겉창재질, 마모, 현장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