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산업용 로봇의 재해특성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이준석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산업용 로봇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다양한 안전장치 및 안전조치도 따라 증가하여야 하나 생산성과 편리함만을 추구하다보면 안전성은 뒷전으로 하는 경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산업용 로봇 시장 확대와 맞물려 산업용 로봇 관련 산업재해도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산업용 로봇 관련 재해 분석과 실태조사를 통해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선(안)을 제시하여 사업주 및 근로자가 쉽게 이해하고 지킬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산업용 로봇 관련 재해 분석 ○ 산업용 로봇의 종류·작업 형태 등 실태조사 ○ 국내·외 산업용 로봇 관련 안전 기준 비교 검토 (2) 연구방법 ○ 최근 3년간 산업용 로봇 관련 재해 분석 ○ 실태조사 설문지 개발 ○ 실태조사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 ○ 미국, 일본 등 선진 외국의 산업용 로봇과 관련한 안전 기준과 산안법의 비교 검토 3.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2008년∼2010년도 재해조사 자료를 기초로 산업용 로봇 관련 산업재해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사업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산업용 로봇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작업방법에 대한 실태와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전절차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산업재해 분석결과를 보면 업종별로는 로봇 특성상 제조업에서 거의 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작업형태별로는 산업용 로봇이 운전중에 발생하는 재해자수가 50명(45.9%)으로 가장 높고, 보수작업 중에 발생한 재해자수도 23명(21.1%)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중, 보수중에 로봇을 정지하고 점검, 정비 등의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를 휴대하거나 적절한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둘째, 실태조사 과정에서 사업장으로부터 많은 문의를 받은 산업용 로봇 용어 정의를 명확히 하여 사업주 및 근로자에게 산업용 로봇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고, 현행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용어 정의 추가가 필요하다. 셋째, 산업재해 분석과 실태조사 분석 결과에서 가장 근원적인 안전대책은 근로자가 산업용 로봇 가동 범위 내로 들어가지 않으면 되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 대안으로 산업용 로봇 안전방책 안에 조작반, 각종 자재와 관련된 장치(실런트 공급장치, 용접용 트랜스 등)를 설치하지 말아야 하고, 비상시에 근로자가 로봇의 가동 범위 내로 들어갈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펜던트를 휴대하거나 비상정지장치를 유효하게 작동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정지장치를 조작반 이외의 장소(안전방책 안 등)에 적절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정지장치는 비상정지회로의 리셋으로 로봇의 어떠한 동작도 개시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다른 2차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4. 활용 및 기대효과 (1) 산업용 로봇 관련 안전 기준의 미비점 및 개선점을 찾아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제정시 근거 자료로 활용 (2) 산업용 로봇의 종류 및 작업별 형태, 위험요인 등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기반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5. 중심어 산업용 로봇, 교시작업, 안전 기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2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