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비호지킨림프종 환자대조군 연구 설계 및 타당성 조사

연구책임자
김은아, 이상길, 이혜은, 박철용, 성정민
수 행 연 도
2015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008년 수행한 반도체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건강실태 역학조사 결과, 여성 근로자의 비호지킨림프종 (non-Hodgkin’s lymphoma, NHL)의 표준화암등록비 (Standardized incidence ratio, SIR)가 2,67 (95%, 신뢰구간 1.22-5.07)로 일반인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런데, 이 연구결과는 직업적 요인 외의 다양한 원인을 감안하지 못하였다. 2008년 구축된 반도체 코호트를 2015년 시점에서 분석하여, 이를 활용한 NHL의 환자-대조군 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NHL의 영향요인에 대한 문헌조사 기존의 연구결과 추가 분석(반도체 코호트의 추가 분석, 한국인근로자 암사망발생연구) 환재대조군연구 설계 및 타당성 조사 3. 연구 결과 선행연구에서 NHL의 발생에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직업적 요인은 가족력과 유전, 자가면역 질환들, 일부 암질환, 약물복용, 감염(HIV, herpes, EBV, C형 간염 바이러스, HTLV-1, 헬리코박터 피로리 등), 음주, 염색 등 생활습관 등이었다. 직업적 요인으로는 농약(주로 페녹시계제초제)이 가장 많았으며, 화학물질 (벤젠, TCE, 스티렌, 비닐클로라이드, 석면 등), 방사선 노출, 교사, 육류 취급자, 목재 취급자, 인쇄업 등이 보고 되었다. 암등록센터의 자료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NHL의 발생률과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증가는 주로 40대 이상, 특히 60대 이상에 집중되어 있어, 반도체코호트 여성의 NHL 증가가 우리나라 일반국민 NHL증가 경향의 일환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반도체 코호트 분석결과, 림프조혈기계암 전체의 SMR은 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일반인보다 높았고(1.76, 95% CI 1.04-2.78), 여성의 NHL은 생산직 여성 전체에서 SIR과 SMR이 일반인구보다 높았는데, Assembly 여성 오퍼레이터의 SIR이 2.78(1.12-5.72), SMR은 FAB여성(1.91, 95%CI, 1.02-3.2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우리나라 고용보험가입 근로자(1995-2000) 자료의 분석 결과 전체 근로자의 NHL 발생률은 일반인구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반도체 제조업 코호트의 NHL 사례를 이용한 환재대조군 연구는 사례 수 부족으로 인해 성공적으로 수행될 가능성이 낮다. 향후 지금까지 수집된 44례의 근로자들의 상세한 사례기술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활용방안 및 기대서오가 국내 NHL환자의 직업적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형태를 판단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5. 중심어 비호지킨림프종, 직업성암, 반도체제조업, 환자-대조군 연구 6. 연락처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김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