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작업환경 실태조사 기초설계 및 문항개발 연구

연구책임자
조윤호 외 3인
수 행 연 도
2023년
핵 심 단 어
실태조사,안전보건조사,작업환경 실태조사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안전보건공단에서 국가승인통계로 실시하는 3종 조사(작업환경 실태조사,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근로환경조사) 개편에 따라 2024년 실시 예정인 「작업환경 실태조사」 시행을 위한 사전 준비 필요

2. 주요 연구내용
 1) 연구결과
  ○ 조사 대상 업종 및 표본 수
   - 제조업만 대상으로 표본 수를 결정하기 위한 주요 변수로 기계 보유 대수, 생산직 종사자 수, 지게차 보유 대수를 선정하여, 제조업 중분류 업종과 규모에 따른 상대표준오차(RSE)를 산출하여 적정 표본 수를 검토한 결과,
   - 전 업종 조사가 바람직하지만 신뢰성 있는 자료 산출이라는 목적과 확보 예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제조업 외 업종까지 종사하는 것은 어려우며, 유해·위험요인 정보에 대한 활용성이 가장 높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5인 미만 사업장까지 포함하여 대표성 있게 조사

  ○ 조사 설문지 개선
    -  기본 방향은 사업장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획득을 위하여 2014년 작업환경실태조사와 2015년 조사 예정인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조사 대상 사업장을 동일하게 하여, 작업환경 실태조사는 유해·위험요인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는 유해·위험요인의 관리적 사항을 조사하여 두 자료를 연계하고자 함
  ○ 조사 방법 및 예산
     - 조사 결과 신뢰성 형상을 위해 조사 평균 소요시간, 1일 조사 건수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본 결과, 현장 조사 기간은 5개월 이상 확보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조사원은 질적 측면을 고려할 때 많은 인원보다는 50명 정도가 적정
    - 조사 결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사원
 
 2) 시사점

  ○ 연구를 통해 2024년 시행 예정인 「작업환경실태조사」 계획 수립과 시행에 필요한 표본 수, 조사 방법 등 구체적인 시행 방안 제시

3. 연구활용방안

 ○ 2024년 수행할 「작업환경실태조사」 계획 수립과 시행에 필요한 표본 수, 조사 방법 등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작업환경 실태조사의 조사 기획과 시행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