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

1일간팝업열지않기 팝업 닫기

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평가제도 마련에 관한 정책연구

연구책임자
백희정 외 5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의료환경의 변화로 간호사는 위해한 근무환경에 노출되고 있으며, 높은 업무량과 업무강도는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고, 업무 특성 상 대인관계 갈등, 감정노동, 폭력 등의 상황에 노출되기 도 하며, 임종환자, 말기환자, 중환자, 응급환자 등을 간호하는 상황에서 의료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도 겪게 된다. ○ 대부분이 여성인 간호사들은 교대근무, 육아 등의 문제로 일과 가정 및 일과 여가 등의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이직을 결정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 간호업무의 특성과 자원의 부족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의 주요인이며,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반응은 소진으로 이어져, 간호사 개인에겐 이직으로, 기관에게는 환자안전의 위협과 의료의 질 저하 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 그 동안 국외의 많은 기관과 연구자들이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를 개발하였고, 국내에서도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KOSS)가 개발되어 산업 현장에서 이 도구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 나 간호환경과 업무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고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 간호사의 업무특성을 반영한 직무스트레스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평가제도 마련을 위한 정책제언을 하고자 함이다. 2. 주요 연구내용 ○ 국내외 사업장 및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 관리제도 고찰 - 문헌과 웹사이트를 통해 국제기구인 국제노동기구와 세계보건기구 등의 직무스트레스 지침과 제도 및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 의료기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가 도구 개발 - 직무스트레스와 반응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고찰하고,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KOSS)와 국내?외에서 개발된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를 비교, 고찰하였다. -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과 심층면담을 통해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였다. - 문헌고찰과 질적연구를 통해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모형을 구안한 후, 직무스트레스 모형에 의거하여 영역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 직무스트레스 도구개발 전문가, 간호학자, 간호관리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게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 예비도구 문항의 내용이해도를 검토하여 수정한 후, 병원급 이상 근무 간호사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 수집한 자료로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여 최종도구를 제시하였고, 한국의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Korean Nurses’Occupational Stress Scale: K-NOSS)로 명명하였다. ○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사용지침 작성 - 개발된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를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지침을 작성하였다. ○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도입방안 제시 - 고용노동부, 의료기관 간호사와 간호관리자, 직업건강관련 간호학회, 의학회, 간호학자, 보건의료노조 관계자, 간호사 단체임원 등과 간담회을 개최하여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평가 및 관리제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평가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3. 연구 활용방안 ○ 개발한 도구는 의원급을 제외한 의료기관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의료기관에서는 본 도구를 사용한 평가 결과에 따라, 간호사의 건강보호를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제시한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도입 방안은 정부, 의료기관, 간호계에서 의료기관 간호사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교수 백희정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부 성정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