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흡입독성시험

게시판 상세페이지
F344 랫드를 이용한 1,2-Dichlorobenzene의 90일(아만성) 반복흡입독성시험 2019.10.07
첨부파일첨부파일(1)

본 시험은 랫드를 이용하여 1,2-Dichlorobenzene90일 반복흡입 노출 시 나타나는 독성을 확인하여 유해성·위험성 평가 자료와 발암성시험의 농도설정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은 대조군과 T1(30 ppm), T2(100 ppm), T3(300 ppm)로 구성하였으며, 시험물질은 군당 암·수 각 10마리씩 16시간, 5, 13주간 반복 노출하였다.

시험개시 전 T95(시험물질이 목표농도의 95%에 도달하는 시간)를 측정한 결과 T1, T2, T3 각각 30.6, 25.7분 및 24.3분 이었다.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의 실제농도는 T1, T2, T3 각각 29.94±1.84 ppn, 99.76±6.53 ppm, 300.78±15.29 ppm 이었으며, 설정농도는 각각 58.78±6.88 ppm, 158.49±13.40 ppm, 436.26±28.40 ppm 이었다.

노출기간 동안 사망동물 및 특이한 임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체중 및 사료 섭취량에서도 시험물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장기중량 측정결과 암컷의 비장(T3, 상대중량), 자궁(T3 T2, 절대 및 상대중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MCH(수컷, T2)PT(수컷, T3), 혈액생화학 검사에서는 TCHO(암수 T2, 암컷 T3)TG(암수 T2, 수컷 T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차이의 정도가 미미하고 조직병리학적으로 관련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독성학적 영향으로는 판단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췌장 선방세포 위축(암수, T3), 뇌하수체 낭(암컷 T3)이 관찰되었으나, 정도가 미미하였고, 그 외 조직에서 관찰된 조직병리학적 변화 또한 정상동물에서 흔히 관찰되는 변화이거나 우발적, 산발적으로 발생되는 자연병변으로 화학물질에 의한 것으로는 판단되지 않았다.